본문 바로가기
Programming/JAVA

2016.3.16_2

by 짜_money 2016. 3. 16.
반응형
* 상수메모리

스택영역(stack) : 지역변수들이 저장
힙영역(heap) : 동적으로 할당한 데이터들이 저장 (=쓰고 남은공간)
↖기초자료형이 아닌데이터

* 프로그래밍에서 . . . 정적과 동적

정적 : 컴파일시에 미리 예측가능하며 결정된 사항
동적 : 실행시에 결정이 되는 사항

지역변수 : 함수안에서 만들어진 변수 → 변수선언문을 만날 때 생성(공간할당), 자신이 포함된 블록이 종료될 때 없어짐


* 스택(출입구가하나라고 생각)

LIFO(Last In First Out) : 먼저 만들어진 것이 늦게 없어짐, 늦게 만들어진 것이 빨리 없어짐

push : 자료를 넣는 것

pop : 자료를 꺼내는 것


* 큐(출입구가 두개라고 생각)


put : 자료를 넣는것

get : 자료를 꺼내는것


int x → 정수를 하나 담을 수 있는 바구니 x

Scanner scan → Scanner로 만들어낸 데이터의 위치를 저장할 수 있는 바구니 scan





-단축키

main + Ctrl +space바 : 메인함수생성



















int x; x는 정수

double x; x는 실수


%d 정수

%f 실수



* 오류

컴파일 에러 : 컴파일이 실패한거(예를 들면 문법이 틀려서)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→ 바로 발견 가능

런타임(실행) 에러 : 실행중에 프로그램이 뻗는거(정수입력받으려고 스캐너 대기중인데 문자입력)

→ 충분한 테스팅을 통해 발견 가능

로지컬(논리) 에러 : 컴파일/런타임 에러없이 잘 동작했는데 프로그램 결과가 우리가 원한게 아님

(제일나쁜놈임 조심)


반응형

'Programming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016.3.18  (0) 2016.03.18
2016.3.17  (0) 2016.03.17
2016.3.16  (0) 2016.03.16
2016.3.15_2  (2) 2016.03.15
2016.3.15  (0) 2016.03.15